본문 바로가기

지식창고

최고경영층이론(Upper echelons theory)

기술 혁신의 최고경영층이론(Upper echelons theory)

 

 

1.최고경영층이론의 정의

 

최고 경영층 이론(Upper Echelons Theory)조직의 최고 경영진의 특성과 경험이 조직의 전략적 의사결정과 성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설명하는 이론입니다. 1984년 Hambrick과 Mason이 처음 제안한 이론은 경영진의 개인적 특성(예: 연령, 교육 수준, 경력, 가치관 등)이 조직의 방향성과 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합니다.

 

이 이론은 최고경영자의 과거 경험, 가치관, 성격 등 개인적 배경 특성이 조직의 성과와 혁신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설명합니다.

 

2. 주요 요소

최고 경영층 이론의 핵심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인지적 기반(Cognitive Base): 경영진의 지식, 경험, 기술 등으로 구성되며, 의사결정 과정에 영향을 미칩니다.
  • 가치관(Values): 경영진의 개인적 신념과 우선순위가 조직의 전략적 선택에 반영됩니다.
  • 민족성 및 문화적 배경: 경영진의 문화적 배경이 조직의 글로벌 전략과 다양성 관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3. 주요 내용

  • 핵심 개념: 최고경영층의 심리적 특성과 인구통계학적 변수(예: 연령, 교육 수준, 경력 등)가 의사결정 방식에 영향을 미쳐 기업의 전략과 성과를 결정합니다.
  • 기술 혁신과의 연관성: 최고경영층이 기술혁신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경우, 기업의 기술혁신 역량과 성과가 향상됩니다. 특히, 최고경영진의 리더십 스타일(예: 변혁적 리더십)은 직원들의 혁신 행동을 촉진합니다.
  • 매개 효과: 최고경영진의 역량은 최고경영자의 역량과 기술혁신 간의 관계를 매개하며, 두 집단의 특성을 함께 고려해야 정확한 분석이 가능합니다.

 

4. 적용 및 시사점

이 이론은 기업이 기술혁신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최고경영층의 전략적 리더십과 조직 학습 메커니즘을 강화해야 함을 시사합니다.

 

  • 다양성 확보: 다양한 배경과 경험을 가진 경영진을 구성하여 조직의 창의성과 문제 해결 능력을 강화합니다.
  • 리더십 개발: 경영진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맞춤형 교육과 멘토링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경영진의 개인적 편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데이터와 분석 도구를 활용합니다.

 

 

 

5. 최고경영층이론 에서 요구되는 역량은

최고경영층 이론에서 요구되는 역량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비전 설정 및 실행 능력: 조직의 장기적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구성원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며 실행하는 능력.
  2. 의사결정 능력: 신속하고 정확한 전략적 의사결정을 통해 자원을 적절히 배분하고 조직의 성과를 극대화하는 능력.
  3. 인간 및 조직 관리 능력: 인적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며, 조직 내 갈등을 관리하고 구성원의 역량을 강화하는 능력.
  4. 네트워크 구축 능력: 외부 이해관계자와 협력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며, 전략적 제휴를 통해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능력.
  5. 도덕성과 실천력: 윤리적 경영을 실천하며 강한 열정과 의지로 목표를 달성하는 능력.

 

이러한 역량은 최고경영층이 조직의 성공과 지속 가능성을 이끄는 데 필수적입니다.


참고:
[1] 최고경영자 및 최고경영진 역량이 기술혁신 역량 및 성과에 미치는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38207
[2] [PDF] 소기업 CEO의 변혁적 리더십이 직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https://www.jksqm.org/upload/pdf/jksqm-47-1-59.pdf
[3] 최고경영진의 심리적 단어 사용의 성과예측성에 관한 연구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56335
[4] 최고경영자 성공 위한 15가지 사전 경험 https://www.ksam.co.kr/p_base.php?action=story_base_view&s_category=_2_&no=1585
[5] [PDF] 저작자표시 - S-Space - 서울대학교 https://s-space.snu.ac.kr/bitstream/10371/137301/1/000000145434.pdf
[6] 기술혁신이론이란 무엇인가 - 브런치스토리 https://brunch.co.kr/@minnation/3584
[7] [PDF] 제12장 전략적 리더십 http://contents2.kocw.or.kr/KOCW/document/2019/chungang/parkchangyun0814/12.pdf